(vagrant) - VM OS설치 자동화
hashicorp페이지 > product, vagrant > download > OS에 맞게 설치
vagrant --version
vagrant init rockylinux/9 (Vagrantfile이 만들어진다)
vi Vagrantfile
Vagrant.configure("2") do |config|
config.vm.define "test01" do |config|
config.vm.box = "rockylinux/9"
config.vm.network "private_network", ip: "192.168.57.100" #host-only network, 자동으로 만들어짐
config.vm.synced_folder ".", "/vagrant", disabled: true
config.vm.provider "virtualbox" do |vb|
vb.memory = "2048"
vb.cpus = 2
vb.name = "test01"
end
config.vm.hostname = "test" #vagrant 뒤에 붙는 이름
end
end
# VM 더 필요할경우 위와 똑같이 겉껍데기 안에 추가한다
# vagrant/vagrant로 사용자 만들어짐
vagrant up (vm 추가되고 실행됨)
vagrant box add rockylinux/9 (수동 이미지 다운로드) (vagrant up해서 이미지 다운로드 안될경우)
vagrant box add NAME (다운로드 안될경우 vagrant cloud에서 이름 찾아서 넣는다)
VBoxManage modifyvm test01 --nested-hw-virt on (virtualbox내에서 VT-x 문제있을경우..)
vagrant ssh test01 (VM 접속)
vagrant halt (VM 끄기)
vagrant destroy (VM 삭제)
vagrant box remove (남은파일까지 제거하며 up이전으로 돌아가기)